

시상/심사위원
Prix & Jury
단편국제경쟁 프로그램
Programme de Compétition des courts-métrages
시상내역 Récompenses



그랑프리
심사위원상
관객상
상금 100만원과 상장
상금 50만원과 상장
상금 30만원과 상장

어린이심사위원상
상금 30만원과 상장
수상작 Lauréats

단편영화 국제경쟁 수상작
Lauréats des Courts-Métrages
********************
그랑프리
<멧돼지를 해결하는 완벽한 방법>
피에릭 쇼팽 감독
Grand Prix
Palissade de Pierrick Chopin
심사위원상
<쓰담쓰담>
마르고 뢰몽 감독
Prix du Jury
Câline de Margot Reumont
관객상
<1992유로 83센트>
콜랭 반 데르 스트레텐 감독
Prix du Public
1992,83 de Colin Van der Straeten
어린이심사위원상
<검은 암탉>
마리옹 클로젤 감독
Prix du Jeune Public
La Poule Noire de Marion Clauzel
****************************
심사위원단 심사평
그랑프리 수상작 - <멧돼지를 해결하는 완벽한 방법>
심사위원상 수상작 - <쓰담쓰담>
총 12편의 단편 국제경쟁섹션 작품 중 그랑프리는 피에릭 쇼팽 감독의 프랑스 실사 극영화 <멧돼지를 해결하는 완벽한 방법>에, 심사위원상은 마르고 뢰몽의 벨기에 프랑스 합작 애니메이션 영화 <쓰담쓰담>에 안겼다. 최종 결정에 이르는 그 과정은 그러나 간단치 않았다. 심사위원 3인 모두의 지지를 받은 영화가 단 한 편도 없었기 때문이다.
우선 전찬일, 양윤호, 고훈 세 위원이 각자 세 편씩을 추천했다. 한데 고작 한 편 <쓰담쓰담>만이 두 위원에게 선택된 게 아닌가. 12편 가운데 무려 3분의 2에 해당하는 8편이 남다른 눈길을 끈 셈이다. 그것은 곧 어느 영화가 수상을 한들 무방하다는 것을 뜻했다. 그만큼 올해로 4회를 맞이한 단편 경선은 치열했던 것이다.
빈말이 아니라 영화 보기 오십 수년에 영화 스터디 40년, 영화 평론 30년 차의 내게도 대개는 ‘단편 영화의 재발견’으로 손색없었다. 그들은 예외 없이 영화 예술·미학·오락적 수준에서 각별한 주목을 요했다. 흔히 장편 영화에 이르는 가교 내지 실습 정도로 여겨지곤 하는 많은 나라들과는 달리 일부 나라, 특히 프랑스어권 국가에서는 단편 영화가 고유의 독립된 분야로 간주·실천돼 오기도 하는 바, 이번 12편의 단편들은 그 프로페셔널리즘을 입증하기 모자람 없었다.
심사 기준은 크게 세 가지였다. 단편 영화로서의 힘과 완결성, 소재·주제 등에서의 참신성, 그리고 영화적 만듦새·완성도였다. 이 기준들에 근거해 판단했을 때, <쓰담쓰담>은 심사위원상으로 적당하다는 합의에 이내 이르렀다. 애니메이션 요인 등은 가산점을 얻기 충분했으나, 내러티브의 참신성에서 약간의 감점이 작용했다. 그랑프리 감으로는 2%쯤 부족하다고 할까.
과연 어느 영화가 대상작으로 가장 어울릴까, 열띤 논의를 펼쳤다. 제주프랑스영화제의 진취적 정체성 등을 고려할 때, 다소 어둡고 무거운 <쓰담쓰담>보다는 밝은, 긍정·희망의 기운을 전하는 영화가 더 좋지 않을까, 싶었다. 그 결과 심사위원장 전찬일이 최고작으로 꼽은 <멧돼지를 해결하는 완벽한 방법>이 최종 선정됐다. 심사기준은 말할 것 없고 영화의 생태친화적 메시지와 스타일, 허를 찌르는 반전적 플롯, 유머 가득한 극적 재미, 생동감 넘치는 주인공들의 연기, 그다지 어색하지 않은 멧돼지 컴퓨터그래픽(CG) 등에서 두 위원이 양보(?)를 해준 것이다. 양윤호 위원이 1위작으로 민 귈뎀 뒤르마 감독의 다큐-픽션 <라자르>는 참신성에서는 최고였으나 지나치게 실험적이란 이유 등에서, 고훈 위원이 밀었던 플로랑스 로샤 & 세레나 로뱅 공동 감독의 <살아있는 인형>은 시의적절하긴 해도 다분히 식상한 소재에 극전개도 도식적이어서 밀렸다고 할 수 있다.
콜랭 반 데르 스트레텐 감독의 <1992유로 83센트>는 양위원이 <라자르>에 이어 2순위로 밀었던 흥미진진한 영화다. 감독의 자전적 경험을 극화했다. 그런 부조리한 행정 시스템 이야기는 2016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등을 가져간 켄 로치 감독의 걸작 <나, 다니에 블레이크> 등을 통해 적잖이 영화화됐으나, 우리네 관객들도 언제 어떻게 당할지 모르는 경험인지라 폭넓은 공감을 끌어내는 데 성공해 관객상의 영예를 차지하지 않았을까, 싶다.
지금 이 순간, 수상에는 실패했어도 기대 이상의 크고 깊은 인상·여운을 안겨준 또 다른 영화들이 내 심상을 떠나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숱한 시들을 15세에서 20세 사이에 창작했다는 아르튀르 랭보가 ‘가짜’일 수 있다는 도발적 상상력으로 빚어낸 레오 데셴 감독의 <시인 랭보는 가짜였다>, 기후 위기의 치명적 위험성을 블랙 유머적 감수성으로 짚은 사뮈엘 마토 & 야니크 놀랭 & 기욤 푸르니에 감독의 다큐멘터리 <벨리버강의 사람들>, 럭비 선수인 세 소녀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여성적이란, 또 남성적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편견에 의문을 제기’하는 루시아 클라우디아 로페스 감독의 <핑크와 블루>, ‘호수에 추락한 버스에서 아이들을 구해낸 공으로 하루아침에 영웅이’ 됐으나 실은 불치의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한 여성을 그린 쥘리앵 가스파르-올리베리 감독의 극영화 <우리의 영웅 마리안> 등, 한둘이 아니다.
이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어느 모로는 당혹스럽기조차한 영화체험이다. 이러니 어찌 ‘단편 영화의 재발견’이라 평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 체험을 좀 더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싶다면 과욕일까. 어떻게든 그 길을 모색하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이래저래 제13회 제주프랑스영화제는 잊지 못할 2022년의 추억으로 기억될 게 틀림없다.
심사위원을 대표해 심사위원장 전찬일(영화평론가)
Commentaires du jury
Pour la compétition des courts-métrages
***
Grand prix - Palissade
Prix du jury - Câline
Parmi les 12 films en Compétition des courts-métrages du 13ème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le Grand Prix est remporté par Palissade, une fiction française de Pierrick Chopin, et le Prix du jury est attribué à Câline, un film d’animation franco-belge de Margot Reumont.
La discussion a été longue et périlleuse pour arriver à un consensus car aucun film n’a fait l’unanimité. D’abord, chacun des trois membres du jury avait proposé une sélection de trois films qu’il pensait les meilleurs. Câline était le seul soutenu par deux membres, ce qui revient à dire que deux tiers des films en compétition - 8 sur 12 - ont attiré une attention particulière du jury. Peu importait donc lequel des huit remporte le prix : ils l’auraient tous mérité. La concurrence dans cette quatrième compétition internationale des courts-métrages a été ainsi très serrée.
Malgré nos 40 ans d’études et 30 ans de carrière dans le milieu du cinéma, cette édition aura été pour nous une « redécouverte des courts-métrages ». Tous les films en lice, sans exception, méritent d’être notés sur tous les plans, artistique, esthétique et distractif. Contrairement aux idées reçues largement répandues selon lesquelles faire des courts-métrages ne serait qu’un passage obligé ou un simple exercice avant de faire un long-métrage, dans certains pays, notamment francophones, les courts-métrages sont reconnus comme un domaine indépendant à part entière.
Et les douze courts-métrages en compétition de cette année ont parfaitement fait preuve de leur professionnalisme.
Pour notre sélection finale, nous avions trois critères principaux : la force et la perfection en tant que court-métrage ; l’originalité du sujet ; la réalisation et la finition cinématographiques. Selon ces critères, nous sommes parvenus à nous accorder sur le choix de Câline comme lauréat du Prix du jury. Pour ses qualités d’animation, il a eu des points supplémentaires mais il manquait un peu d’originalité quant à son sujet pour remporter le Grand Prix.
Pour la sélection du Grand Prix, la discussion a été très animée. Compte tenu de l’esprit entreprenant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nous voulions un film qui transpire l’espoir et l’énergie, plus joyeux et positif afin de contrebalancer le côté légèrement plus lourd et sombre de Câline. Finalement, le choix pour le Grand Prix s’est porté sur Palissade, vivement soutenu par JEON Chanil, le président du jury. En effet, le film a convaincu les deux autres membres du jury non seulement pour sa performance répondant à tous les critères exigés par le jury, mais aussi pour son message écologique, son style, son intrigue surprenante qui nous prend au dépourvu, son intérêt dramatique plein d’humour, la vivacité du jeu des acteurs et ses effets numériques plutôt réussis d’animation du sanglier. Quant au Lazare, réalisé par Güldem Durmaz, soutenu par YANG Yunho, bien que jugé le meilleur sur le plan de l’originalité, il n’a finalement pas été retenu à cause de son côté un peu trop expérimental. Concernant Poupées de chair, co-réalisé par Florence Rochat et Séréna Robin, soutenu par KO Hoon, bien que son sujet soit d’actualité et à propos, son développement dramatique a été jugé quelque peu formaté.
En ce qui concerne 1992, 83, réalisé par Colin Van der Straeten, c’est une fiction très intéressante basée sur l’expérience autobiographique du réalisateur, une satire sur l’absurdité du système administratif. C’est un sujet plusieurs fois exploité par les cinéastes, entre autres par Ken Loach dans Moi, Daniel Blake, qui lui a valu la Palme d’or au Festival de Cannes 2016. Étant donné que nous les spectateurs sommes tous susceptibles de nous retrouver dans ce genre de situation, à tout moment, le film a probablement pu gagner davantage la sympathie du public.
Au moment où nous rédigeons ce commentaire, nous pensons à tous les autres films qui ont participé à cette compétition sans être couronnés, malheureusement, car ils nous ont tous profondément émus et impressionnés. Il nous sera difficile de les déloger de notre mémoire et de nos pensées : Oublier Rimbaud réalisé par Léo Deschênes à partir d’une imagination provocatrice selon laquelle les œuvres poétiques de Rimbaud, qu’il avait créées entre ses 15 et 20 ans, pourraient être fausses ; Belle river, un documentaire de Samuel Matteau, Yannick Nolin et Guillaume Fournier, qui a su rappeler avec un humour noir le danger fatal pour l’humanité dû à la crise climatique ; Les Roses et les Bleus, un documentaire réalisé par Lucia Claudia Lopez, qui remet en question les préjugés reposant sur une vision sociale inégale de la féminité et de la masculinité grâce aux témoignages de trois jeunes joueuses de rugby ; Marianne de Julien Gaspar-Oliveri, une fiction qui dresse le portrait d’une femme traumatisée, devenue héroïne du jour au lendemain pour avoir sauvé les enfants après la chute d’un autocar dans le lac.
Pour nous, ce fut une formidable expérience cinématographique, totalement inattendue, voire déroutante dans une certaine mesure, une véritable « redécouverte des courts-métrages ». Comment pourrions-nous dire autre chose ? Désirer partager cette expérience avec davantage de personnes serait-il un vœu pieux ? En tout cas, nous aimerions de tout cœur trouver les moyens pour y parvenir. Pour ces multiples raisons, la 13ème édition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nous restera un souvenir inoubliable de l’année 2022.
JEON Chanil (critique de cinéma), président du jury
Au nom de tous les membres du jury
관객상 - 관객평 종합
***
수상작 <1992유로 83센트 1992,83>
총 12편의 단편국제경쟁섹션 작품 중 관객상은 총 18.8%의 지지를 얻은 <1992유로 83센트 1992,83>에게 돌아갔습니다. 이외에도 몇 작품이 치열한 경합을 벌였습니다. <A.O.C. : 원산지가 품질을 보장합니다 A.O.C.>(11.7%) 는 주인공들이 보여준 에너지 넘치는 연기와,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적 진정성이 빛나면서도 재미와 활력을 주는 드라마적 요소를 풍부하게 살린 연출이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으며, <멧돼지를 해결하는 완벽한 방법 Palissade>(11.7%)은 시의 적절한 소재와 기발한 이야기 전개, (CG 멧돼지를 포함한) 세 주인공이 불협인듯 멋진 화음을 만들어내는 연기 호흡이 주는 재미 덕분에, 주제가 가진 교훈적 메시지에 대해 상투적이지 않은 유쾌한 공감을 자아냈습니다. <시인 랭보는 가짜였다 Oublier Rimbaud>(15.6%)는 한국에서도 유명한 세계적인 시인 랭보에 대한 깜짝 놀랄 상상으로 소재면에서 큰 호감을 이끌어냈으며, 근엄 그 자체인 교수와 반짝이는 재능을 가진 젊은 제자와의 권위와 위계의 구도가 점차 시심(詩心)과 창작을 매개로 평등, 혹은 나아가 전복되는 모습도 높은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1992유로 83센트 1992,83>는 영화가 가진 블랙 코미디적 에너지와, 영화적 재미를 미장센 곳곳에 숨긴 센스가 관객들에게도 즐거운 공모를 만들어냈으며, 어처구니없는 부조리한 행정, 공무원들의 무능에 대해서라면 또한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한국 관객들, 특히 일자리가 불안한 청년들은 주인공 뤼뱅과 분노를 매개로 하나가 되는 경험을 했습니다. 마지막 장면의 절규는, 할 수만 있다면 객석에서도 모두 함께 따라 외치고 싶을 만큼의 카타르시스를 주었습니다. 메시지와 감정은 아주 현실적이면서도 미장센은 초현실적이어서 영화보는 재미 또한 만족시켰다는 점이 관객들의 호감을 이끌어 냈습니다.
다양한 매력의 작품들로 제13회 제주프랑스영화제를 빛내주신 모든 감독님들, 또 관심과 애정으로 함께 해주신 관객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조혜경, 제주프랑스영화제 단편프로그래머
Commentaires du public
Pour la compétition des courts-métrages
***
Prix du Public - 1992,83
Le Prix du public est attribué à 1992,83 avec 18,8% des voix, talonné par quelques autres films dont la concurrence a été très serrée. A.O.C. (11,7%) a séduit le public par le jeu énergique de ses personnages principaux et sa mise en scène jouissive et dynamique, combinés à l’authenticité du documentaire. Quant à Palissade (11,7%), le public a été agréablement surpris par l’à-propos de son sujet, l’ingéniosité dans le déroulement de l’histoire et l’équilibre entre les trois protagonistes (dont le sanglier en animation numérique) qui produisent une belle cacophonie tout en s’accordant dans leur jeu d’acteur, malgré son message plutôt instructif et didactique. Pour ce qui concerne Oublier Rimbaud (15.6%), le public a montré un grand intérêt pour son imagination surprenante qui met en scène le poète mondialement célèbre et bien connu des Coréens. Il faut également noter que le public a beaucoup apprécié le fait que le rapport hiérarchique du début entre le professeur, symbole même de l’autorité, et une étudiante talentueuse se meut en une relation d’égalité, voire se renverse, par l’intermédiaire de la poésie et de la création.
1992,83, lauréat du Prix du public, a su créer une joyeuse complicité chez les spectateurs grâce à son humour noir et l’ingéniosité de sa mise en scène parsemée de plaisirs cinématographiques. Étant donné que les Coréens ne connaissent que trop bien cette absurdité de l’administration et l’incompétence des fonctionnaires, les spectateurs, en particulier les jeunes en situation précaire, ont dû se sentir unis par la colère avec Lubin, le malheureux protagoniste, son cri d’indignation dans la scène finale leur offrant ainsi une expérience cathartique. La clé de son succès auprès du public réside donc dans le fait que le film ne manque pas de distraction cinématographique tout en faisant passer un message ainsi que des sentiments très réalistes dans une mise en scène surréaliste.
Pour finir, un grand merci à tous les réalisateurs d’avoir illuminé cette 13ème édition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avec leurs œuvres aux charmes diversifiés mais toujours d’excellente qualité, et à tous les festivaliers pour leur intérêt et leur affection.
CHO Hye-kyung, programmatrice des courts-métrages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어린이 심사위원상 - 어린이 심사위원단 평가 종합
***
수상작: <검은 암탉 La poule noire>
총 6편의 어린이를 위한 단편경쟁섹션 참가작 중 어린이 심사위원상은 30.3%의 어린이 관객의 지지를 받은 <검은 암탉 La poule noire>이 차지했습니다. 뒤를 이어 <미래의 자동차 Bolide> (27.7%)와 <여우 여왕 La reine des renards> (21.9%)도 높은 인기를 보였습니다. <여우 여왕 La reine des renards >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행복과 이타적인 행복의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따뜻한 그림체로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았다면, <미래의 자동차 Bolide>는 자동차와 미래 사회에 대한 높은 관심도, 어린이들이 예상하던 첨단 테크놀로지가 아닌 자연의 요소인 말로 돌아간다는 신선하고 의외적인 발상, 그리고 생계가 어려워진 엄마를 걱정하는 주인공 사디아의 착한 마음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굳은 의지가 많은 박수를 받았습니다.
어린이 심사위원장 수상작인 <검은 암탉 La poule noire>은 사랑스러운 주인공 오귀스트를 둘러싼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생생한 감정의 표현이 많은 어린이들의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것은 엄마에게 달걀을 갖다 주고자 하는 오귀스트의 착하고 예쁜 마음이었지만, 놀라운 점은 어린이들의 눈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마음도 모두 지켜보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엄마를 생각하는 아빠의 마음, 할머니의 사랑, 형제 간의 관계, 그리고 엄마와 오귀스트 간의 모자관계, 새로 태어난 아기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들은 그 가족 전체의 조화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암탉이 사라진 곳에 부질없이 옥수수알을 뿌리고 또 뿌리는 모습이 그려내는 슬픔, 또 오랜만에 나타난 암탉이 낳아 둔 다섯 개의 달걀을 한꺼번에 얻게 되는 순간의 오귀스트의 행복 등의 디테일에도 어린이 관객들은 놓치지 않고 반응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조혜경, 제주프랑스영화제 단편프로그래머
Commentaires du jeune public
Pour la compétition Jeune Public
***
Prix du Jeune Public - La Poule noire
Le Prix du Jeune public est remporté par La Poule noire avec 30,3% des voix, suivi de Bolide (27,7%) et de La Reine des renards (21,9%) qui ont également eu beaucoup de succès auprès du jeune public.
La Reine des renards est apprécié surtout pour la beauté et la douceur de ses images illustrant à merveille le bonheur engendré par un partage altruiste avec les autres. Pour ce qui concerne Bolide, les jeunes spectateurs, naturellement intéressés par les automobiles et la société du futur, ont applaudi l’idée originale de proposer, comme « véhicule » alternatif, les chevaux, et non un engin quelconque de haute technologie auquel on se serait attendu. Ils ont été également touchés par la bonté de Saadia, la jeune héroïne du film qui se soucie de sa mère en difficulté financière, et par sa forte volonté de surmonter les épreuves.
La Poule noire, lauréat du Prix du jeune public, a suscité la sympathie de nombreux enfants grâce à son récit très attachant construit autour d’Auguste, son adorable protagoniste, et à la vivacité dans l’expression des émotions et des sentiments. Le jeune public s’est montré particulièrement sensible à la tendresse du petit garçon pour sa maman à qui il veut apporter des œufs frais tous les matins, et aussi très attentifs à ce que ressent chaque membre de la famille et à l’harmonie qui y règne : prévenance du père pour sa femme, générosité de la grand-mère, rapport entre frères, relation mère-fils, accueil du nouveau-né au sein de la famille, etc. Ils étaient également très réceptifs aux petits détails, par exemple lorsque Auguste répand sans cesse des graines de maïs, en vain, dans l’attente du retour du volatile disparu, ou encore son visage irradiant de bonheur face à la poule revenue et à la découverte des œufs qu’elle a pondus.
CHO Hye-kyung, programmatrice des courts-métrages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
프랑스영화 어린이평론가대회 수상자
주한프랑스대사관의 참여로 지난 11/5 (토) 탐라도서관에서 개최된 ‘프랑스영화 어린이평론가대회’는 2회차에 걸쳐 총 107명(등록 기준)의 참여로 풍성한 결실을 거두었습니다. 총 6편의 작품 감상과 다니엘 리뇨 주한프랑스대사관 불어교육,스포츠협력담당관의 축하 메시지 발표 등, 프랑스 영화와 프랑스어에 대한 감수성과 흥미를 고양하는 즐거운 시간을 가졌습니다. 영화에 대한 어린이 평론가들의 다양한 감상 또한, 영화제와 대사관의 심사 관계자들을 깜짝 놀라게 할 만큼 참신하고 우수한 생각과 글쓰기로 가득했습니다. 수상자들에게는 주한프랑스대사관 뤼도빅 기요 문화참사관상 상장과 소정의 상품이 수여됩니다. 다음은 열띤 경합을 통해 수상의 영광을 안은 수상자들의 명단과 영화제 측의 수상 추천사입니다.
******************************
* 1등상 (가나다순)
노형초 5학년 김태원 <해파리>
“<해파리>는 영화가 다양한 은유를 품고 있어 이해하기 쉽지 않은 영화인데도 눈에 보이지 않는 그 행간을 읽어내는 이해력이 아주 돋보였고, 그 이해한 바를 우리의 모습으로 일반화시켜 내는 적용력도 뛰어났습니다. 상상과 은유가 풍부한 프랑스 문화에 잘 어울리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장전초 6학년 양채린 <여름캠프>
“<여름캠프> 또한 <해파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해석을 이끌어낼 수 있는 미스터리 영화인데, 그 핵심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눈으로 보기에 두 개인 것이 실은 하나일 수도 있고, 우리 내면은 여러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추상적 이야기를 효과적인 글쓰기로 잘 전달했습니다”
백록초 5학년 이가율 <미래의 자동차>
“작품에서 이해한 바를 작품 외의 개인적 경험 및 지식과 연결 지을 수 있는 복합적 사고는, 목적을 가진 글쓰기의 중요한 열쇠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의 평소 관심사인 자동차, 그리고 자동차와 관련된 환경 뉴스까지 인용하는 종합적 구성력으로 글이 완성도가 높았습니다”
******************************
* 2등상 (가나다순)
백록초 4학년 김하은 <여우 여왕>
“<여우 여왕>이 말하고자 하는 ‘주는 사랑’의 메시지를 아주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짧은 글이지만 영화를 이해하고 감상을 정리하는 사고의 과정도 차분하고, 그것을 표현하는 글을 쓸 때도 예쁘고 단정하게 쓰는 솜씨가 느껴집니다. 읽는 사람도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엄초 5학년 윤주연 <검은 암탉>
“암탉이 사라진 자리에 옥수수를 뿌리고 또 뿌리는 장면의 안타까움이라든가 하는 영화의 사소한 디테일도 꼼꼼히 보는 관찰력과, 인물의 아픔에 공감하는 섬세한 감수성이 돋보였습니다. 언어를 넘어서는 서사에 공감도가 높아서 다양한 나라의 문화 콘텐츠 경험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한라초 6학년 현유지 <여름캠프>
“영화 내부적인 이야기뿐 아니라 장편영화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는 등 외부적인 요소에 대한 관점도 제시하며 평론글의 특징을 잘 알고 있는 명석함이 돋보입니다. 낯선 콘텐츠에 대해 열린 시점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문화에 대한 수용력이 매우 발달했음을 잘 보여줍니다.”
******************************
* 3등상 – 특별언급상 (가나다순)
노형초 4학년 강단아 <여름캠프>
“<여름 캠프>는 이해하기 쉽지 않은 영화이고 또 정답이 없는 영화이지만 사실 영화적으로 보아 감독이 더 짜임새 있게 유도하고 있는 결론은 있다고 볼 때, 그 부분을 아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짧은 글에 핵심을 요약하는 간결하고 효과적인 글쓰기도 좋았습니다.”
제주중앙초 4학년 임준성 <검은 암탉>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의 마음을 다 헤아리는 착하고 섬세한 시선이나, 개별 인물의 특성뿐 아니라 인물들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포괄적인 이해력이 돋보입니다. 문화적인 감수성이 아주 발달해 있으면서도 영화의 아쉬움도 지적하고 있는 균형 잡힌 글쓰기입니다”
노형초 6학년 지힘찬 <여우 여왕>
“자유로운 상상과 독특한 관점은 언제나 글을 매력 넘치게 만듭니다. 글뿐 아니라 말솜씨도 좋을 것으로 짐작되는 에너지 넘치는 글입니다. 자기만의 유머 감각과 주변 현상에 대한 냉철한 관점도 좋았습니다. 그 자체로 이미 상당히 프랑스 문화적인 태도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메초 5학년 한도연 <해파리>
“평소 독서나 글쓰기, 분석적 사고에 대한 경험치가 느껴지는 세련된 글쓰기입니다. 어휘 선택이나 행 구분을 봐도, 평소 꾸준히 글을 쓰고 있지 않을까 하는 느낌을 줍니다. 한발짝 떨어져 이야기를 바라보는 비평적 시선도 좋습니다. 운문(시)적인 글쓰기도 시도해보면 좋겠습니다”
신제주초 6학년 허지성 <검은 암탉>
“짧은 글이지만 영화에 담긴 가족과 삶의 이야기에 대한 성숙한 이해가 느껴지는 감상입니다. 나무를 보기보다 숲을 보는 차분한 눈을 가지고 있는 듯합니다. 글쓰기에 재능이 보이니 앞으로 계속 글 쓰는 연습을 꾸준히 하기를 권하고 싶고, 외국어도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심사위원 Membres du jury

전찬일 JEON Chan-il
영화평론가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주)문화광장 대표이사
중앙대학교 글로벌예술학부 겸임교수
Critique de cinéma
Président de l’Association Coréenne de Critique des Contenus Culturels
Président de la Compagnie Esplanade de Culture
Professeur invité de la Faculté de l’Art Global à l’Université de Chung-Ang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주간지 기자로 활동하였다. 서울대 6인조 아카펠라 그룹 ‘인공위성’을 매니지먼트하던 1993년 11월, 월간 『말』에 기고하며 영화 비평에 전격 투신한 이래 줄곧 대학 강의 등을 병행하며 현장 비평가로 활동해왔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프로그래머, 아시아필름마켓 부위원장, 영화연구소장으로 부산국제영화제(BIFF)에 몸담기도 했다. 2021년 4월 19일 ‘크리튜버 전찬일TV’를 개국하여 그 첫 프로그램으로 ‘전찬일 이덕일의 종횡무진: 영화와 역사를 탐하다’를, 뒤이어 ‘찬스무비’를 진행하고 있다. 5.18 40주년을 맞아 기획·재출간한 《황무지 5월의 고해 김태영 작품 시나리오집》(개벽사, 2020.08.28.)이나 《데미안》 탄생 100주년을 기려 기획·출간한 《내 삶에 스며든 헤세》(라운더바우트, 2019. 05) 등이 그 사례들이다. 저서로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2020.06), 평론집 《영화의 매혹, 잔혹한 비평》(2008) 등이, 역서로 《존 레논 1940 -1980》(1993) 등이 있다.
2021년 9월 현재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조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2020년 12월부터는 신설 법인 (주)문화광장의 대표이사직을 겸직하고 있다.
JEON Chan-il a obtenu une Licence et un Master de Lettres Allemandes à l’Université Nationale de Séoul. Après son Master, il commence sa carrière de journaliste dans un magazine hebdomadaire. En novembre 1993, tout en travaillant comme manager du groupe de 6 chanteurs a capella ‘Ingongwisung’ (Grande voix faite par l’Homme), il commenca sa carrière professionnel en tant que critique de cinéma en publiant un article dans le magazine mensuel progressiste ‘Mal’ (Parole). Ensuite, tout en continuant ses activités comme critique de cinéma, il a donné des cours dans différentes universités.
De 2009 à 2016, il a travaillé comme programmateur, vice-président du Marché de Films Asiatiques et directeur de l’Institut de Recherches du Cinéma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Busan (BIFF). Il a créé sa propre chaîne sur Youtube ‘TV du Crituber JEON Chanil’ et commence à y diffuser le programme ‘De long en large de JEON Chan-il et LEE Duk-il : convoiter le cinéma et l’histoire’, avant de mettre en ligne ‘Chance Movie’, actuellement son deuxième programme sur la chaîne. Par ailleurs, en commémorant les 40 ans du génocide 518 il a réédité en 2020 ‘Confession de mai dans le terrain vague : recueil de scénario de KIM Tae-young’. Puis il a ensuite commémoré la publication du roman ‘Demian’, en publiant en 2019 ‘Comment Hesse est entré dans ma vie’. Ses oeuvres sont entre autres ‘BONG Joon-ho, réalisateur, synonyme de genre’(2020), et ‘Charme du cinéma, critique atroce’, son recueil de critiques. Il a également traduit ‘John Lennon 1940~1980’(1993).
Depuis septembre 2021 il est président de l’Association Coréenne de Critique des Contenus Culturels et membre du Comité d’organisation d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Animation de Bucheon. Enfin, depuis décembre 2020, il est président de la Compagnie Esplanade de Culture.

양윤호 YANG Yun-ho
영화감독, 한국영화감독협회 이사장
Réalisateur & Président de l’Association des réalisateurs coréens
필모그래피
1992년 가변차선
1996년 유리
2000년 리베라 메
2005년 홀리데이
2007년 가면
2010년 그랑프리
2010년 아이리스
2011년 쉐어 더 비전
수상
1992년 제18회 서울독립영화제 네이버상
1992년 부산 동백 영화제 대상
1992년 금관영화제 대상
2011년 제3회 3D 한국국제영화제 단편부문 대상
2018년 제6회 대한민국 예술문화인대상 영화발전공로 부문
Filmographie
1992 The Extra lanes
1996 Yuri
2000 Libera ME
2005 Holiday
2007 Rainbow eyes
2010 Grand Prix
2010 Iris : the Movie
2011 Share the vision
Récompenses
1992 Prix de Naver du 18ème Festival du Film Court-Métrage de Séoul
1992 Grand Prix du Festival du Film de Dongbaik à Busan
1992 Grand Prix du Festival du Film de Couronne dorée
2011 Grand Prix en section de court-métrage au 3ème Festival International de Corée 3D
2018 Grand Prix en section du mérite pour le cinéma au 6ème Cérémonie des arts et de la culture

고훈 KO Hoon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연극영화학 박사 (한양대학교)
Réalisateur, scénariste, doctorat de cinéma (Université Hanyang)
단편 영화
<호올스> 제주 국제 장애인 인권 영화제 관객상(2014년) / <을의 로맨스> 제주 국제 장애인 인권 영화제 작품상(2015년) / <신혼여행> 제26회 애리조나 국제 영화제 단편 경쟁(2016년) / <신혼여행> 제18회 장애인영화제 단편 경쟁(2016년) / <마흔> 제71회 칸영화제 비경쟁(2017년)
장편영화
<어멍> : 2019년 11월 21일 전국 개봉 - 제14회 제주영화제 트멍 관객상(2018년)- 제44회 서울독립영화제 특별초청(2018년) - 제1회 독립영화 반짝반짝전(2019년) / <종이꽃> : 2020년 10월 22일 전국 개봉 -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 파노라마 부문(2019년) - 제15회 제주영화제 개막작(2019년) - 제45회 서울독립영화제 특별초청(2019년) - 제53회 휴스턴국제영화제 최우수외국어영화상, 남우주연상(2020년) - 시카고 아시아팝업영화제 개막작(2020년) - 대만 타오위안국제영화제 초청(2020년) - 제9회 아랍에미레이트 샤르자국제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22년)
Né à Jeju en 1977
Courts-métrages
2014 Halls, prix du public du Festival International pour le Droit des Handicapés de Jeju
2015 Romance de Eul, prix du meilleur film du Festival International pour le Droit des Handicapés de Jeju
2015 Voyage de noces, sélectionné en compétition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Arizona, sélectionné en compétition au 2016 Festival du Film des Handicapés
2017 40 ans, sélectionné hors-compétition au Festival de Cannes
Longs métrages
Ma mère
-sorti en salle le 21 novembre 2019
-prix du public au Festival de Jeju en 2018
-sélectionné au Festival du Film Indépendant de Séoul en 2018
-sélectionné au Festival du Film Indépendant 'Scintillement'
Fleur en papier
-sorti en salle le 20 octobre 2020
-sélectionné dans section de Panorama actuel du cinéma coréen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Busan en 2019
-sélectionné comme film d’ouverture du Festival du Film de Jeju en 2019
-sélectionné au Festival du Film Indépendant de Séoul en 2019
-prix du meilleur acteur et prix du meilleur film étranger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Houston en 2020
-sélectionné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Taoyuan en 2020
-sélectionné a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Sharjah en Émirats arabes unis e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