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래머의 글
Mots des programmateurs
올해로 벌써 제13회를 맞이한 제주프랑스영화제는 줄리앙 람발디 감독의 ‘세라비 : 다섯 번의 기적’을 개막작으로 문을 엽니다. 출 산을 앞둔 다섯 예비 엄마들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해프닝의 연속을 통해 뜻대로 되지 않는 것, 즐거움과 슬픔, 삶과 죽음이 공존하 는 그것이 인생이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그 외에 3개의 장편 섹션 <프랑스의 여러 얼굴들>, <사랑의 다른 이름>, <가족과 함께>, 故 장-뤽 고다르 감독 추모 <특별상영>, 폐막작까지 총 12편의 영화를 통해 각기 표현하는 방식과 색깔은 달라도 인생의 크고 작은 소용돌이 속에서 갈등하며 자아를 찾아가는 인물들과 함께하는 여정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프랑스의 여러 얼굴들> 섹션의 ‘레미제라블’, ‘아듀’, ‘레벤느망’에서 사회라는 거대한 조직의 변방으로 내몰려 차별과 횡포에 맞서 투쟁하는 인물들을 보며 당연한 것 같은 한 줌의 자유와 권리를 얻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공감하게 됩니다. <사랑의 다른 이름> 섹션의 ‘우리, 둘’, ‘파리, 13구’, ‘스프링 블라썸’에서는 인생의 황혼길에 접어든 여인들의 사랑, 방황하는 청춘들의 복잡 한 로맨스, 가슴 설레는 첫사랑의 이야기까지 주변의 시선과 사회적 통념을 깨고 사랑을 통해 자아를 찾아가려는 인물들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가족과 함께> 섹션에서는 혹독한 대자연 속에서 온갖 난관을 극복해나가야 하는 어린 순록 ‘아일로’의 성장 다큐멘터리, 보이지는 않지만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끈끈한 유대감을 아름답게 풀어낸 두 편의 픽션 ‘쁘띠 마망’과 ‘코끼리와 나비’를 통해 잔잔한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특별상영>으로는 지난 9월 타계하신 누벨바그의 거장 故 장-뤽 고다르 감독을 추모하는 의미로 ‘비브르 사비’를 준비했습니다.
끝으로, 인간의 이중성과 위선을 냉정한 시선으로 담아낸 미카엘 하네케 감독 연출, 지난 6월 타계하신 배우 故 장-루이 트랭티냥 주연의 ‘해피엔드’로 (작고하신 명배우에 경의를 표하며) 올해의 영화 축제는 막을 내릴 것입니다. 위에 언급한 두 감독은 영화를 “초당 24개의 진실” (고다르), “진실을 위한 초당 24개의 거짓”(하네케)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여기 여러분을 위해 마련된 영화라는 시공간에서 각자 나름의 진실을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2019년 이래로 국제경쟁 체제로 발돋움한 제주프랑스영화제의 단편영화 부문은 늘 새로운 작품에 대한 설렘으로 가득합니다. 올해도 전 세계 프랑스어권 국가에서 2021년 9월 이후에 제작된 최신 단편 영화 총 373편의 응모작을 새롭게 만났고,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한 치열한 토론을 통해 제주프랑스영화제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성을 잘 담아낸 18편의 본선 진출작을 선정하였 습니다.
오랜 팬데믹이 바꿔놓은 우리 시대의 생생한 풍경을 포착하고 있는 이 응모작들의 장르를 살펴보면 픽션 272편(60.2%), 애니메 이션 77편(17.0%), 실험영화 54편(11.9%), 다큐멘터리 49편(10.8%) 등으로 (중복 선택 가능), 전년도에 비해 다큐멘터리 비중이 소폭 줄어든 반면 애니메이션 비중이 상승을 보여, 프랑스어권 단편영화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응모작의 국적은 프랑스 272편과 캐나다(퀘벡 포함) 31편, 벨기에 29편, 스위스 8편, 룩셈부르크 4편, 부르키나 파소 1편, 콩고민주공화국 1편, 세네갈 1편 등으로 (중복 선택 가능) 전세계 다양한 프랑스어권 국가에서 출품되었습니다.
이 중 18편(단편국제경쟁섹션 12편, 어린이를 위한 단편경쟁섹션 6편)의 올해의 본선 진출작들이 특히 주목한 주제의식 은, 팬데믹을 거치며 ‘거리두기’와 ‘봉쇄’의 고독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깊이 들여다보는 것, 또한 그러한 자신과 타인, 개인과 사회 사이의 관계였습니다. 문학, 환경, 청년, 고용, 복지, 다문화, 사랑, 성장, 트라우마, 가족 등의 테마를 담은 다양한 영화들이 때로는 감동으로, 때로는 웃음으로, 때로는 전율로 제주의 관객들을 사로잡을 것입니다.
올해는 또한 탐라도서관에서의 상영을 포함, 어린이를 위한 단편경쟁섹션 작품들의 상영이 전 관객층의 관람이 가능하도록 확대된다는 변화가 찾아옵니다. 주한프랑스대사관의 참여와 함께 진행될 “프랑스 영화 어린이 평론가 대회”에서는 미래의 국제 관계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의 시선으로 이번 영화제의 어린이를 위한 단편경쟁섹션 영화를 보고 신선한 감상을 발표한 어린이를 미래의 평론가로 선정, 시상할 것입니다. 제주프랑스영화제의 수준높은 '어린이를 위한 단편경쟁섹션' 작품들에 대한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영화제 마지막날인 11월 7일 열릴 폐막식에서는, 이 18편의 본선 진출작 중 그랑프리, 심사위원상, 관객상, 어린이심사위원상 수상작이 발표됩니다. 단편국제 경쟁 섹션의 그랑프리와 심사위원상은 영화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관객상은 제주프랑스영화제를 찾아주신 관객분들이 각각 선정하게 되며, 어린이심사위원상은 해당 영화를 감상한 어린이심사위원단에 의해 선정됩니다. 영화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실시간 업데이트는 영화제 페이스북 www.facebook.com/JejuFFF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영주 장편프로그래머
조혜경 단편프로그래머
La 13ème édition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lève le rideau avec C’est la vie de Julien Rambaldi, une succession de happenings autour de cinq accouchements, qui semble dire que la vie est une tragi-comédie où se mêlent la joie et la peine, la vie et la mort. 12 longs-métrages, dont 9 répartis en trois sections, une projection spéciale en hommage du regretté Jean-Luc Godard, et le film de clôture, vous invitent au voyage avec des personnages en quête de soi qui se battent dans le tourbillon de la vie.
Les Misérables, Adieu les cons et L’Évènement, de la section « Facettes de France », dépeignent ceux qui, en marge de la société, luttent contre son injustice et sa violence pour revendiquer un minimum de liberté. Choisis pour la section « Autre nom de l’amour », Deux, Les Olympiades et Seize printemps nous conduisent à la rencontre de plusieurs histoires d’amour, depuis celle de deux amantes au crépuscule de la vie jusqu’au frémissement d’un premier amour en passant par les amours tumultueuses de la jeunesse. Pour la section « En famille », le documentaire Aïlo : une odyssée en Laponie qui raconte le voyage initiatique d’un bébé renne, et Petite maman et Drôle de père, deux fictions traitant des liens affectifs, vous feront vivre des moments riches en émotion.
En « Projection spéciale », nous présenterons Vivre sa vie en mémoire du grand maître du cinéma Jean-Luc Godard.
Enfin, notre fête s’achèvera avec Happy End de Michael Haneke, une satire glaciale sur l’hypocrisie humaine (tout en rendant hommage à Jean-Louis Trintignant, décédé en juin dernier). Nous souhaitons que ces moments de 7ème art (« 24 fois la vérité par seconde » selon Godard, « 24 mensonges par seconde au serve de la vérité » selon Haneke !) vous offrent un espace-temps où chacun trouvera sa vérité propre.
La section courts-métrages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qui s'est imposée comme compétition internationale depuis 2019, est toujours pleine d'effervescence pour de nouvelles rencontres. Cette année aussi, nous avons accueilli un total de 373 courts métrages produits après septembre 2021 dans les pays francophones du monde entier, et sélectionné 18 finalistes qui sont bien harmonisés avec l’esprit du Festival du Film Français de Jeju à travers des discussions acharnées reflétant des voix diverses.
Les divers genres des entrées de cette année qui vivement capturent le paysage de notre époque post- pandémique sont : 272 fictions (60.2%), 77 animation (17.0%), 54 expérimentaux (11.9%) et 49 documentaires (10.8%) (multiple choix possible). La proportion de documentaires a légèrement diminué par rapport à l'année précédente, tandis que le nombre d'animations a augmenté, suggérant l'intérêt croissant pour les divers modes d’expression visuelle des courts-métrages francophones. Les nationalités des films nous montrent la participation de divers pays francophones à travers le monde : 272 Français, 31 Canadiens (dont Québécois), 29 Belges, 8 Suisses, 4 Luxembourgeois, 1 Sénégalais, 1 du Burkina Faso, 1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etc. (multiple choix possible)
Le thème favori des 18 finalistes (dont 6 films en section Jeune Public) était le regard profond sur notre existence dans la solitude de la distanciation et du blocage à travers la pandémie, et la relation entre soi et les autres, et l'individu et la société. Ils explorent ces thèmes dans des motifs plus variés tels que la littérature, l'environnement, la jeunesse, l'emploi, le bien-être, le multiculturalisme, l'amour, la croissance, les traumatismes et la famille, etc. Ils résonneront avec le public de Jeju avec des émotions, des rires et parfois des frissons.
Une nouveauté de cette année : les films de la Section Jeune Public auront plus de séances y compris les projections spéciales à la bibliothèque publique de Tamna, ce qui permettra au public de tous âges confondus d’y assister, non seulement les jeunes spectateurs. Nous organiserons également en coopération avec l’Ambassade de France en Corée le tout premier “Concours critique en herbe” pour primer les appréciations originales de la part des enfants qui sont les protagonistes des futures relations internationales.
Les lauréats du Grand Prix, du Prix du Jury, du Prix du Public et du Prix du Jeune Public seront annoncés lors de la cérémonie de clôture le 7 novembre 2022. Des informations détaillées et des mises à jour en temps réel sur le Festival sont disponibles sur la page Facebook du Festival www.facebook.com/JejuFFF. Nous vous remercions encore de vos intérêts et attentes pour le Festival.
LEE Young-joo programmatrice des longs-métrages
CHO Hye-kyung programmatrice des courts-métrages